상단여백
  •  
HOME 포커스 사회 보건복지
"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중 아나필락시스 사망 없어"

[세종=신세계보건복지통신] 정태훈 기자 = 국내에서 진행된 신종 코로나바이러스 감염증(코로나19) 백신 접종과 관련, 현재까지는 '아나필락시스' 관련 사망이나 중증 이상 반응은 없는 것으로 확인됐다. 아나필락시스는 접종 후 발생하는 중증 전신 알레르기 반응으로 심하면 사망에 이를 수 있다. 

<사진=KTV 캡처>

13일 코로나19 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 정례 브리핑에서 이 같이 밝혔다. 아나필락시스의 경우 △아나필락시스 쇼크 △아나필락시스양으로 나눈다. 아나필락시스양은 접종 후 2시간 이내에 호흡곤란, 두드러기 등의 증상이 발현되며 대증요법으로 호전이 가능하다.

이날 0시 기준 백신 접종 후 신고된 아나필락시스 의심 누적 사례는 총 73건이다. 이 가운데 아나필락시스양 반응이 72건, 아나필락시스 쇼크가 1건으로 집계됐다.  

추진단은 백신 후 사망 및 중증 사례와 백신 접종간의 인과성 평가를 진행하고 있으나 백신이 아나필락시스를 유발했다고 단정 지을 수 있는 사례는 아직 발견하지 못했다고 밝혔다. 

박영준 추진단 팀장은 "현재까지 사망과 중증 사례 중 백신 접종으로 인한 아나필락시스 인정 사례는 없었다"라며 "나머지 사례는 기준에 합당한 지 평가한 후 원인을 파악할 것"이라고 설명했다. 지난 12일 예방접종 피해조사반 2차 회의를 연 추진단은 추가로 신고된 사망 사례 7건을 검토해 오는 15일 정례브리핑에서 결과를 공개할 방침이다.

경련이나 중증 이상의 반응과 백신 접종 간의 인과성도 부족하다고도 밝혔다. 박 팀장은 "경련과 중증 이상 반응이 백신에 의해 유발됐다는 인과관계가 인정될 만한 사례도 아직 없는 상황"이라며 "이러한 이상, 중증 반응은 대부분 기저질환으로 설명된다"고 밝혔다.

한편 추진단은 백신 접종 후 근육통이나 발열 등의 증상이 나타났을 때 타이레놀처럼 소염효과가 없는 해열진통제를 먹을 것을 권장하기도 했다. 박 팀장은 "면역반응이 활발한 젊은 층에서 접종 후 근육통, 발열 등 증상이 상당수 나타났다"라며 "예방접종 후 적절한 휴식과 증상 관리를 할 수 있도록 배려가 필요하다"고 당부했다.

정태훈 기자  th33@xinsegaenews.com

<저작권자 © 신세계보건복지통신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

정태훈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
icon인기기사
기사 댓글 0
전체보기
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.
Back to To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