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경북교육청이 급식종사자의 화상 예방을 위한 '무릎토시’를 개발해 보급했다. <사진=경북교육청> |
[안동=신세계보건복지통신] 김원화 기자 = 경북교육청은 급식종사자의 화상 예방을 위해 전국 최초로 경북형 안전보호구 '무릎토시’를 개발해 직속기관, 공립 단설유치원, 공사립 초·중·고·특수학교 조리교 764교에 4059벌을 보급했다고 14일 밝혔다.
2021년 학교 내 급식실에서 약 60건의 다양한 산업재해가 발생했는데 그 중 화상재해(8건, 13%)는 재활과 치료에 많은 시간과 비용 등이 소요되고 완치 후에도 흉터나 기형으로 인해 극심한 정신적·정서적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.
특히, 화상재해 중 장화 안으로 뜨거운 물이 들어가 발생되는 재해는 연간 3~4건으로 표피와 진피가 손상되는 2도 이상의 중증 화상으로 번지기 쉬워 다른 유형의 화상보다 치료기간이 많이 소요되며(25~50일 이내) 색조 변화 등 후유증이 오래 남아 가장 주의해야 할 재해이다.
이에 대한 대책으로 경북교육청은 2021년 4월부터 경북형 안전보호구 '무릎 토시’ 개발에 착수했고 2022년도부터는 급식종사자의 ‘장화 안 화상 ZERO’를 목표로 '경북영양(교)사회' 및 '조리사회'와 TF팀을 구성해 운영 중이며 학교급식 종사자를 대상(414명)으로 무릎토시 시범운영을 거쳐 착용감 등을 개선한 후 전체 공사립 조리교에 이를 보급했다.
![]() |
김동식 교육안전과장은 “안전보호구는 안전의식 확보의 출발점이며 불시에 일어나는 산업재해로부터 생명과 건강을 지켜주는 방패 역할을 할 것”이라며 “학교 현장의 현업 종사자 뿐만 아니라 모든 교직원들이 업무내용에 따라서는 자율적으로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해 경북교육청의 안전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”고 말했다.
김원화 기자 kkskwh@xinsegaenews.com
<저작권자 © 신세계보건복지통신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